풍수이론

나경(羅經) 패철논(佩鐵論)

최고관리자 0 2,577 2016.11.28 15:34

제4장    나경(羅經) 패철논(佩鐵論)   
 第1節 서론 
Ⅰ. 나경의 유래와 각 층별 명칭
       나경은 일명 패철이라고도 하는데 포라 만상 경윤천지(ꡐ包羅萬象 經綸天地‘)라는 말에서 羅와 經을 따온 용어이다.
     이 나경은 풍수지리에서 方位를 측정할 때 사용하는 기구로서 일종의 나침반과 같은 것이다.
     羅經은 周나라 成王때부터 사용되어졌던 周  의 문왕(文王) 후천팔괘를 응용하여 만들어진 것이다.
     당초에는 12방위뿐이었으나 세월을 거쳐서 많은 학자들이 연구를 하여 조금씩 발전시켰던 바, 한나라 때의 장량(張良)이 현재와 같은 24방위로 세분화하였다.
     그 후 당(唐)나라 때 양균송(楊筠松)이 장량의 패철을 조금 더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개발함으로써 마침내 오늘날 나경(패철)이 탄생하게 되었다.

     2. 각 층별 명칭과 기능
제1층
(제1선)
황천수(黃泉水)를 측정한다.
제2층
(제2선)
팔요풍(八曜風)을 측정한다.
제3층
(제3선)
쌍산(雙山) 삼합오행(三合五行)을 측정한다.
제4층
(제4선)
지반정침(地盤正針)이라고도 하는 제4층은 풍수지리에서 가장
기본적이면서 많이 사용하는 24방위가 나타나 있다.
내룡(來龍)과 입수․선익의 각도, 좌향을 측정한다.
제5층
(제5선)
기의 흐름인 용맥(龍脈)을 측정한다. 보통 천산(穿山) 72룡
방향에 있어서 기준이 된다.
   
        나경은 '층'이라고도 하고 '선'이라고도 하는 구분된 둥근 원이 몇 겹으로 둘러싸고 있는데 가장 많은 경우엔 36겹, 즉 36층(36선)까지 표기된 나경도 있으므로 외형적으로 굉장히 복잡해 보인다.                                                                              
      이 나경에 표기된 각각의 층들은 풍수지리에서 方位를 측정할 때 거론하는 고유의 기능이 있는데 나경 제1층(제1선)에서 제5층(제5선)까지만 이해해도 풍수지리에서 방위를 이해하고 또 현장 풍수에서 응용하는데도 큰 불편이 없다고 하므로 이 책에서는 5층으로 구성된 나경 도해(圖解)를 중심으로 그 사용법과 기능을 알아보고자 한다.
 
  Ⅱ. 나경 제1층의 기능
     나경 제1층은 황천수(黃泉水)를 측정하는 칸이라고 하였다. 아울러 제1층을 기준으로 나경 제4층이 좌(坐)가 된다.
     여기에서 황천수란 묘의 유골이 묻힌 구덩이인 광중(壙中)에 스며드는 물을 가리킨다. 그 중에서도 지하로 흐르고 있는 수맥(水脈)을 통해 광중으로 스며든 물은 黃泉 陰水라 하고 땅 위의 빗물 등이 스며든 물은 황천(黃泉)양수라 한다.
     나경 제1층에 표기된 辰․寅․申․酉․亥․卯․巳․午의 8개 방위는 위에서 설명한 황천양수가 스며드는 방위이다.
     따라서 황천 수는 광중(壙中)에 물이 치는 수염(水炎) 혹은 수염에 해당되어 유골에 좋지 않으므로 일반인들은 황천살(黃泉殺)이라고도 한다.
   

       이 황천수를 살펴보는 방법은 우선 나경의 4번째 칸이 제4층(제4선)의 방위를 무덤의 坐로 보고 그 좌에서 제1층, 즉 첫 번째 칸을 보았을 때 해당되는 8방위들 중의 어느 한 방위에 스며드는 물이 황천수(혹은 황천살)가 된다는 것이다.
     예를 들어, 나경 제4층(坐를 기준으로 하므로)의 북쪽에 있는 壬․子․癸坐의 경우, 제1층의 해당 방위는 진(辰)이므로 ꡐ24방위 소속표ꡑ에 표기된 辰 방향, 즉 동남쪽에 황천수가 들면 그 후손들이 암이나 당뇨, 신장 등 물과 관련된 각종 질환으로 재난을 당할 수 있다는 것이다.
 
       어쨌든 나경 제1층에 표기된 辰․寅․申․酉․亥․卯․巳․五의 8방위는 황천수가 스며들 수 있는 나경상으로 지정된 방위인 것이다.
     따라서 8방위의 황천수 지정 방위와 나경 4층이 坐의 관계를 요약하여 보면 위의 도표와 같다.
     아울러 ꡐ24방위 소속표ꡑ등의 나경을 볼 때는 시계 방향으로 돌아간다는 것을 기억해 두기 바란다.
     이렇게 진정된 황천수의 방위뿐만 아니라 유골이 묻힌 穴場의 주변에는 24방위의 어느 방향이든지 물이 스며들게 되면 소골에 좋지 않으므로 늘 조상의 묘지를 둘러보고 그럴 여지가 있다면 적절한 조치를 취해야 할 것이다.
Ⅲ. 나경 제2층의 기능
     나경 제2층은 八曜風이라는 바람이 묘의 광중에 침입하는 방위를 측정하는 칸이다.
     이 팔요 풍 측정 역시 풍수에서 기본 방위로 쓰는 나경 제4층을 기준으로 하는데 제2층을 기준으로 나경 제4층이 向이 된다고 보며 팔요 풍 에도 음풍(陰風)과 양풍이 있다. 음풍(陰風)이란 陰谷子生風이라고도 하는데 산세가 험준하고 산골짜기가 매우 깊어서 자연 발생적으로 생기는 냉기와 비슷한 찬바람을 말하며 陽風은 땅 위의 모든 바람을 지칭한 것이다.
     팔요음풍은 묘지 뒤쪽의 입수(入首)나 앞쪽의 전순, 청룡이나 백호의 사이를 가리지 않고 골짜기가 깊고 깊어서 차가운 바람이 생겨나면 혈 주변의 국세들이나 입수, 전순 등을 손상시키고 허약하게 만듦으로써 마침내 묘지의 광중까지 드나들게 되는 것이다.
Ⅲ. 나경 제2층의 기능
     나경 제2층은 八曜風이라는 바람이 묘의 광중에 침입하는 방위를 측정하는 칸이다.
     이 팔요 풍 측정 역시 풍수에서 기본 방위로 쓰는 나경 제4층을 기준으로 하는데 제2층을 기준으로 나경 제4층이 向이 된다고 보며 팔요 풍 에도 음풍(陰風)과 양풍이 있다. 음풍(陰風)이란 陰谷子生風이라고도 하는데 산세가 험준하고 산골짜기가 매우 깊어서 자연 발생적으로 생기는 냉기와 비슷한 찬바람을 말하며 陽風은 땅 위의 모든 바람을 지칭한 것이다.
     팔요음풍은 묘지 뒤쪽의 입수(入首)나 앞쪽의 전순, 청룡이나 백호의 사이를 가리지 않고 골짜기가 깊고 깊어서 차가운 바람이 생겨나면 혈 주변의 국세들이나 입수, 전순 등을 손상시키고 허약하게 만듦으로써 마침내 묘지의 광중까지 드나들게 되는 것이다.   
     청룡이나 백호의 사이를 가리지 않고 골짜기가 깊고 깊어서 차가운 바람이 생겨나면 혈 주변의 국세들이나 입수, 전순 등을 손상시키고 허약하게 만듦으로써 마침내 묘지의 광중까지 드나들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혈 주변의 국세나 주변 산세들의 특성을 파악하여 음곡자생풍이 발생하여 묘의 광중까지 드나들지 않도록 묘지 선정 시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우리들이 흔히 '바람'이라 부르는 지상의 팔요양풍은 나경상으로 표기된 다음과 같은 방위를 조심해야 한다. 이 때도 역시 기준이 되는 것은 제1층의 경우처럼 4층의 24방위이다.
     이 4층의 방위가 묘지의 坐向을 논할 때 거론되는 向이 되면서 向方에 있는 제2층의 방위가 八曜風이 오는 방위인 것이다.
     예를 들어 나경 제4층의 向이 壬子일 경우, 다시 말해 壬子向의 입수 혈장인 경우에는 팔요 풍이 들 수 있는 방향이 나경 제2층에 표기된 건(乾) 방향이다.
     이때 제2층에 표기된 건(乾)옆에는 빈 칸이 하나 있다. 그 빈 칸은 건 방향에서 한 칸 더 오른쪽(시계방향)으로 진행된 방위까지를 포함한다는 뜻이다. 따라서 임자향의 팔요 풍 방위는 나경 제2층에 표기된 건(乾)이지만 방위상으로 나타나는 실제 팔요풍은 건해풍(乾亥風)이 되는 것이다.
     팔요양 풍 가운데 건해풍은 '24기본방위'상으로 북서쪽이므로 入首 오른쪽에서 약간 위쪽(북서)의 방향으로 드나드는 좋지 않은 바람인 것이다.
    '건해풍'을 <보기>로 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은 그림으로 나타낼 수 있으며 나경 제2층에 표기된 팔요 양풍의 지정 방위를 살펴보면 도표와 같이 12방위로 측정되지만 실제로 부는 방향은 약간 더 세분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상에 나타난 팔요 풍의 12개 방위에서 ①에서 ⑧항까지의 방위는 入首의 오른쪽이나 왼쪽에서 가장 가까운 곳, 즉 좌청룡․우백호의 국세가 시작되는 부분으로서 여기에 팔요 풍이 드나들게 되면 풍수지리에서는 보통 자손이 끊어지거나 그 후손이 엄청난 화(禍)를 당한다고 하는 손절방위(孫節方位)로 부르고 있다.
     그러므로 혈(무덤)의 向과 팔요풍의 방향을 살펴서 묘지를 선정해야 하는 것이다.
     ⑨에서 ⑫항까지의 방위는 입수의 오른쪽과 왼쪽에서 동시에 가장 가까운 곳(청룡 선익과 백호 선익의 시작부분)으로서 손절방위는 아니지만 풍수지리에서 묘지 뒤쪽이 入首가 자손의 번창과 발전에 관계가 있다고 보므로 여기에 팔요풍이 드나들게 되면 자손(子孫)대에 이르러 서서히 가문이 쇠퇴해지면서 마침내 자손까지 끊어질 염려가 있다고 보는 것이다.
     결과적으로 ①에서 ⑫항까지의 向을 기준으로 나경 제2층에 표기된 방위 八曜風이 드나들게 되면 그 風殺에 의해 묘지 뒤쪽의 入首는 응결된 氣가 흩어지고 형세가 손상되는 등으로 좋지 않은 영향을 받게 되는데 그 좋지 않은 영향력은 입수뿐만 아니라 穴을 감싸고 있는 주변 국세(청룡․백호)에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주변 국세가 흐트러지고 손상되면 그곳을 통하여 穴場의 광중(壙中)까지 바람이 드나들게 됨으로써 그런 묘지에 유골을 안장한 자손들은 요절하게 되거나 代가 끊기는 재난을 겪게 된다.
     이런 것은 풍수지리 이론이지만 과학적으로도 타당한 근거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우리가 숨을 쉬고 사는 공기 중에는 질소 원소가 78%나 함유되어 있다고 한다. 따라서 공기의 흐름인 바람이 유골이 묻힌 광중에 드나들게 되면 유골은 급속도로 산화되기 시작하고 이로 인해 그 유골의 자손들은 각종 風病으로 고통을 받게 될 뿐만 아니라 재산상의 손해나 송사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다는 것이다.
     그러므로 입수(入首)․청룡(靑龍)․백호(白虎)가 어딘가에서 끊어졌거나 파헤쳐지는 일이 있는지 늘 살펴야 하고 묘지 자체에도 바람이 통하는 곳이 생겼는지도 잘 관찰해서 팔요 풍의 풍 살을 방지해야 하겠다.
Ⅳ. 나경 제3층의 기능
    나경 제3층은 三合五行으로 엮어진 五行局에 의하여 선악(善惡)이 구체적인 인간사에 현현되는 시기를 수리적으로 나타내는 기능을 담당한다.
    24개 방위 중 十二支에 天干을 하나씩 짝 지워서 측정하므로 쌍산 이라고 부른다. 또 오행중 土는 중앙 穴心의 방위를 상징하므로 木火金水의 4행으로 삼합을 이루게 한다.
    ① 木局 : 亥․卯․未=乾亥․甲卯․丁未=3․8의 수리
    ② 火局 : 寅․午․戌=艮寅․丙午․辛戌=2․7의 수리
    ③ 金局 : 巳․酉․丑=巽巳․庚酉․癸丑=4․9의 수리
    ④ 水局 : 申․子․辰=坤申․壬子․乙辰=1․6의 수리
    ⑤ 土局 : 중앙의 穴心=5․10의 수리
    이와 같은 삼합오행은 配合節 해당 방위로 미루어 그 좋고 나쁨이 나타나는 시기를 추정하는데 사용되지만 그것들의 善惡을 추정하는 데는 美的인 조화 등에 의하여 차이가 크므로 나경에 의한 선악 추정에 굳이 얽매일 필요는 없다고 하겠다.
 
Ⅴ. 나경 제4층의 기능
     나경 제4층은 지반(地盤)정침(定針)이라고도 하는데 南과 北을 가리키는 기준으로 만든 24방위가 세분화되어 표기되어 있다. 이 24방위는 풍수지리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方位이자 풍수에서 방위를 측정할 때 반드시 인지해야 할 공식과 같은 기본 방위이다.
     24방위를 나경 상에 표기된 순서(시계방향)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런 24방위는 天干 12방위와 地支 12방위로 나누어 배속시킬 수 있는데 원래의 地支 12개는 그대로 12방위에 배속되었지만 天干 12방위는 중앙의 土를 의미하는  戊와 己를 제외하고 그대신 乾․坤․艮․巽의 4자를 넣어 구성하였다.
    ․ 천간  12방위 : 壬․癸․艮․甲․乙․巽․丙․丁․坤․庚․辛․乾
    ․ 지지  12방위 : 子․丑․寅․卯․辰․巳․午․未․申․酉․戌․亥
     아울러 24방위는 나경을 설명한 첫 부분에서 소개한 '24방위 소속표'와 같이 동서남북의 正 위치에 있는 四正方位와 4정 방위들의 중간에 있는 북서․남서․남동․북동에 위치하는 四隅方位로도 분류한다.
 
       풍수지리에서의 기본 24방위(나경 제4층)는 또 24방위 하나 하나가 八卦 중이 어느 괘에 속하는지를 따져서 陰陽으로 구분하기도 한다.
     이를 풍수 용어로는 정음정양법 정(淨陰淨陽法)이라고도 하여 陰 방위의 龍들은 정음룡(淨陰龍), 陽 방위의 용들은 정양룡(淨陽龍)이라고 지칭한다.
   ․ 정음룡  12방위 : 丑․艮․卯․巽․巳․丙․丁․未․庚․酉․辛․亥
   ․ 정양룡  12방위 : 壬․子․癸․寅․申․乙․辰․午․坤․申․戌․乾
     이때 淨陰龍은 반드시 淨陰向 하도록 해야 하고 淨陽龍은 淨陽向이 되도록 해야 한다.
      ★ 배합룡(配合龍)과 불배합룡(不配合龍)
       조종산(祖宗山)에서 계속 뻗어 온 내룡(來龍)이 나경 제4층에 표기된 24방위 가운데 어느 쪽으로 흘러가는지를 보는 것, 즉 내룡(來龍)의 변화절을 보는 것이 내룡측정이며, 내룡의 방위 측정으로 배합룡과 불배합룡을 파악하게 된다.
       산에도 음양오행이 있다는 것은 앞에서 설명한 바 있다. 내룡 역시 동양 역학의 이치에 의해 陰과 陽이 조화되어야만 吉하다고 여기므로 다음과 같이 쌍산오행 배합처럼 天干陽과 地支陽으로 짝을 지어 12방위의 吉龍 배합공식이 만들어졌다.
       壬子․癸丑․艮寅․甲卯․乙辰․巽巳․丙午․丁未․坤申․丙酉․申戌․乾亥가 그것인데 來龍, 즉 산등성이의 주된 중심선이 나경상으로 이 12방위 각각의 두 글자 중심선상으로 뻗어 내리고 있다면 매우 길하게 여기고 이것을 配合龍이라 부르는 것이다.
  1. 配合龍의 측정
    
        중심선상에 오도록 해야 한다. 그런 다음 용맥을 바라볼 때는 용이 뻗어 흐르는 산능선의 온 자리 중심에 서도록 한다.
      예를 들어 도표의 그림에 나타난 것처럼 a지점에서 b지점을 바라볼 때 나경을 맞추 어 보아  용의 중심이 壬과 子를 가르며 한가운데(중앙.中央)의 방향으로 흐르고 있으므로 壬子 배합 룡이 되는 것이다.
      같은 방법으로 b지점에서 c지점을 바라볼 때 나경을 맞추어 그 지점을 흐르는 용의 중심이 乾과 亥의 중심을 관통하여 뻗어간다면 乾亥 배합 룡이 되는 것이다.
      물론 a, b, c를 거꾸로 하여 c에서 b, b에서 a를 바라보면서 내 룡을 측정할 때도 같은 방법을 사용한다. 아울러 배합 룡은 그 방위적 특성에 따라 다음과 같이 3가지의 吉性이 발현된다.
 1) 귀(貴)룡(龍) 四方位
      귀 룡은 四正方位인 子․午․卯․酉에 천간이 배합된 壬子․丙午․甲卯․庚酉의 四節方位를 가리 친다.
      특히 위의 4방위 각각의 중심선상으로 내룡이 뻗어가야 귀룡이 되는 것은 물론 귀룡의 중앙으로 흐르는 용맥(내룡)의 수가 많고 뚜렷할수록 자손들의 관운(官運)이 드높아지고 이름을 사해에 떨칠 수 있다는 것이다.
     여기서 말하는 '중심으로 흐르는 용맥'이란 내룡 측정방법에서 그림으로 설명한 것처럼 내룡이 귀룡 4방위들인 壬과 子의 중앙 경계선, 丙과 午의 중앙경계선, 甲과 卯의 중앙계선, 庚과 酉의 중앙경계선을 관통하여 흐르는 것을 말한다.
2) 부룡사방위(富龍四方位)
     부룡 4방위는 소위 사고장(四庫藏)방위라고 하는 辰․戌․丑․未에 천간을 얹은
     乙辰․辛戌․癸丑․丁未의 4방위들의 중앙선상(가운데 경계선)으로 용맥(龍脈)이 흐르는 것을 말한다.
     이 富龍 方位로의 내룡이 거듭되고 뚜렷할수록 자손들의 복록은 무궁하여지고 특히  富를 축적하게 된다고 본다.
 3) 손룡 사방위(孫龍 四方位)
    손룡 4방위는 四胎脈 혹은 四生 地支라고 하는 寅․申․巳․亥에 天干이 배합된
    艮寅․坤申․巽巳․乾亥로 흐르는 내룡을 가리킨다.
 
       물론 이 손룡 역시 각 방위들의 중앙 경계선, 즉 중심 선상으로 내룡이 뻗어야 하며 이 손룡이 겹치고 그 용맥(龍脈)이 뚜렷하면 자손의 수가 많아지고 무병장수하게 되면서 가문이 번창하게 된다고 본다.
      이상의 배합(配合)룡의 吉性, 즉 貴․富․孫龍의 성정이 발현되는 것은 내룡 및 혈장, 주변 국세들이 갖는 자체적인 응(應)기(氣) 능력에 의해서 결정되지만 내룡이 흐를 때, 그 마디마디가 어떻게 이어지고 흐르는지도 중요하다.
      즉 위에서 열거한 것과 같이 배합룡 각 방위의 천간과 지지의 중심선상으로 용맥(龍脈)이 흘러야만 그 吉性이 크다고 보는 것이다.
 
     2. 불배합룡(不配合龍)의 측정
      불배합룡은 기본 24방위(나경 제4층)에서 天干과 地支가 바르게 배합되지 않은
      亥壬․子癸․丑艮․寅甲․卯乙․辰巽․巳丙․午丁․未坤․申庚․酉辛․戌乾의 12방위이다.
      이 불배합룡은 내룡의 흐름이 배합룡 처럼 쌍(雙)산(山)五行이 나타내는 방위들의 중심선상으로 뻗지 못하고 중앙 경계선을 벗어나 다른 방위로 빗나감으로써 좋지 않은 성정을 발현하게 된 것이다.
      특히 내룡의 중심선(산능선의 중심)이 위에서 열거한 12방위, 즉 지지와 천간으로  짝지어진 불배합룡 두 글자의 중앙 경계선을 관통하여 흐를 경우 매우 좋지 않은 흉화작용을 가져 온다고 보는 것이다.
      불배합룡의 흉성적 특성을 보면 다음과 같이 인패․재패․병패(病敗)의 3가지가 있다.
    1) 人敗龍 四方位
         亥壬․寅甲․巳丙․辛庚의 4가지이다.
         이런 인패룡이 있게 되면 病으로 죽는 사람이 많아지는데 인패룡 방위상으로 흐르는 내룡이 겹치고 거듭될수록 그 후손들에게 병이나 의외의 慘死, 沒死등이 발생하여 가문이 멸망하게 된다.
    2) 病敗龍四方位
         丑艮․辰巽․未坤․戌乾이 4가지이다.
        

           이런 병폐룡 방위의 내룡(來龍)이 겹치면 집안에 질병으로 고생하는 환자가  자주 생기고 집안대대로 만성질환이나 고질병으로 시달리는 사람이 많고 불구자가 생기도 한다.
    3) 財敗龍 四方位
         子癸․卯乙․午丁․酉辛의 4가지이다.
         이런 재패룡 방위로 내룡이 흐르게 되면 그 후손들은 損財를 자주 당하게 되고 이 재패룡이 겹치고 거듭될수록 재산이 흩어지고 破散이 계속되어 집안은 풍비박산이 되고 온 식솔이 주거지가 없이 떨어져 살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인․재․병패는 산을 타고 흐르는 내룡 자체의 결함이나 穴 및 주변 국세인 청룡, 백호 등의 결격 요소에 의해서 주로 결정되지만 불배합룡 12방위 중심선상으로 그 흐름이 이어질 경우엔 좋지 않은 凶性이 크게 고조된다고  할 수 있다.

Ⅴ. 나경 제4층의 기능
    3. 三字配合龍의 측정
     三字 배합룡이란 來龍의 중심선이 하나의 지지를 가운데 두고 양쪽에 천간을 더하여서 만들어진 방위의 중앙으로 흐르는 것을 말한다.
     즉 나경상으로 봤을 때 양쪽 천간의 사이에 있는 지지의 방향으로 산의 중심 능선이 뻗어 흐르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산의 중심 능선이 子의 방향을 관통하여 흐르고 있다면 바로 옆칸에 있는 壬은 子와 배합을 이루는 가운데 그 다른 쪽 옆에는 천간 癸가 온다는 식이다.    
     3자 배합룡의 공식은 壬子癸․癸丑艮․艮寅甲․甲卯乙․乙辰巽․巽巳丙․丙午丁․
     丁未坤․坤申庚․庚酉辛․辛戌乾․乾亥壬의 12방위이다.
     3자 배합룡은 앞의 二字 배합룡처럼 貴․孫․富의 吉性이 나타난다고 하는데 뜻 그대로 귀는 명예상승과 발전, 손은 자손의 번창이나 가문의 번영, 부는 재산상의 福祿 축적을 의미하고 있다.

       그런데 3자 배합룡으로 흐르는 내룡은 이런 三吉性만 있는 것이 아니다.
     귀․손․부의 善性에 대하여 반대급부로서 좋지 않은 영향력도 미친다는데 먼저 개인의 명예와 관련된 배합3자 貴龍은 관재나 소송 등을 당함으로써 오히려 명예를 실추 당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또 자손의 번창이나 가문의 번영을 가져온다는 배합 3자 孫龍은 그 善性과 반대로써 가까운 친척 남녀간의 성적인 교섭을 의미하는 相避를 유도하며, 복록의 축적을 가져다 준다는 배합 3자 富龍은 재산이 축적되는 한편 이를 탐하여 탈취해 가는 도적의 출현을 유도한다고 보는 것이다.
     이것이 三字 배합룡의 吉性과 凶性이다.
   
  
     4. 三字 不配合龍의 측정
      3자 불배합룡은 위의 3자 배합룡과 반대로 하나의 天干을 가운데로 두고 양쪽에 地支가 더하여져서 만들어진 방위상으로 내룡의 중심선이 흐를 때, 그 중심선이 3자의 가운데에 있는 천간 방향을 관통하여 흐르는 것을 말한다.
      3자 불배합룡의 공식은 다음과 같이 12방위로 구성된다.
      子癸丑․丑艮寅․寅甲卯․卯乙辰․辰巽巳․巳丙午․午丁未․未坤申․申庚酉․
      酉申戌․戌乾亥.
      이 12가지의 3자  불배합룡 방위는 앞의 二字 불배합룡처럼 人敗․病敗․財敗의
      3자기 凶作用방위를 형성한다.
      ■ 인패룡 4방위 : 寅甲卯․巳丙午․申庚酉․亥壬子
      ■ 병패룡 4방위 : 丑艮寅․辰巽巳․未坤申․戌乾亥
      ■ 재패룡 4방위 : 子癸丑․卯乙辰․午丁未․酉辛戌
 
      三字 不配合龍에서 人敗龍 4방위로 용맥이 흐를 경우에는 그 후손들이 불의의 사고나 갑작스런 병으로 고통을 겪게 되고 나아가 인패룡이 거듭되면 病死나 事故死를 당하게 된다.
      또 3자 不配合龍에서 病敗龍 4방위로 흐르는 용맥이 거듭되면 불구자가 발생하고, 고질병으로 고통을 겪게 되며 財敗龍은 재산상의 파산과 변동수로 곤란을 겪게 될 것을 유도한다.
        위와 같은 흉작용은 내룡의 용맥의 不配合龍 방위의 중심선상으로 흐르는 경우, 즉 양쪽의 천간 사이에 있는 지지의 방향으로 산능선이 흐를 경우에 발현된다는 것은 앞에서 설명하였다. 능선(내룡)의 癸의 방향을 관통하여 흐르고 있고 그 양쪽 옆으로 地支, 子와 丑이 온다면 이는 3자 불배합룡이 되면서 그중에서도 재패룡 4방위의 하나가 되는 것이다.(3자 불배합룡의 측정방법 그림 참조).
  三字 配合龍과 不配合龍의 구분을 쉽게 한다면 다음의 그림과 같다. 그림에 나타난 것처럼 來龍이 산세의 변화를 타고 흐를 때 그려지는 산줄기 전체의 중심선과 變化節 마디마디를 나경으로 측정할 때 나타나는 그 마디 자체의 높은 곳의 중심은 그 위치가 약간씩 다르다.
     따라서 산줄기 전체의 중심선(내룡의 주된 흐름선)이 三字合으로 된 방위의 어디로 흐르는지에 따라 그 배합 여부가 결정된다는 것이다.
     가령 來龍이 위쪽에서 그 중심선이 亥壬子의 壬방향으로 흐른다면 이는 두지지 사이에 있는 천간으로 용이 흘렀으므로 3자 불배합룡이 되면서 羅經상으로 좌측(좌청룡 방향)을 행해 들어온 左旋龍이 되었다.
     그러다가 내룡의 아래쪽으로 오면서 내룡의 중심선은 다시 우측(우백호 방향)을 향하므로 右旋龍이 되었으며 그 중심선은 乾亥壬의 三字合 방위에서 두 천간의 사이에 있는 地支, 亥를 관통함으로써 3자 配合龍이 되었다.
     결국 來龍이 흐르는 방향에 따라 좌선룡일 때는'三字불배합룡'이 되고 우선룡일 때는 '三字배합룡'이 된다고 하겠다.
     이상의 配合龍과 不配合龍은 산줄기의 흐름, 즉 내룡을 측정할 때 보게 되는 것이고  실제로 시신을 안장하는 穴場에 下棺할 때는 다음에서 설명할 나경 제5층에 표기된 천산 72룡으로 측정하여 결정하게 된다.
Ⅵ. 나경 제5층의 기능
     나경 제5층은 穿山 七十二龍을 나타낸 것인데 72룡이란 혈장까지 이어지는 龍脈의 흐름을 72개의 分金으로 구분한 것을 말한다.
     천산 72룡의 분금 용도는 시신이 안장될 壙中으로 흘러 들러오는 용맥의 방향과 시신이 下棺방향이 잘 조화가 되므로서 吉格이 되었는지, 그렇지 않은 凶格이 되었는지를 추정하는 데에 있다.
     이때 용맥을 측정하는 방법은 시신의 방향에 따르는데 하관할 때 시신의 복부중심(배꼽)은 배합룡을 타고 흐르는 혈중심 縱線상에 고정시키되 시신의 머리는 나경 제5층에 있는 어느한 분금의 중앙과 일치시키고 시신의 하부(다리)는 머리 방향의 분금이 있었던 정반대편의 분금 중앙을 향하도록 해야 한다.
     그래서 시신의 머리쪽의 용맥(분금)방향과 하부의 분금을 연결하면 직선이 되는 것이다.
     이것을 구체적인 그림을 통하여 예를 들어 설명하면 좀더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① 配合龍은 入首가 壬子貴龍이 되었다. 그러다가 穴心으로 이어지는 穴 중심  縱線은 우측으로 꺾여(내룡이 입수로 들어오는 방향을 북쪽으로 보았을 때) 우선혈장(우선혈장)이 되었다.
     나경은 제4층의 子가 正北의 방향이므로 혈장 뒤쪽 방위로 가게 하고 正南의 午 는 앞쪽으로 향하게 한다.
     ② 는 나경 제5층으로 천산(穿山) 75룡의 길흉(吉凶)을 측정하는데 쓴다.
     ③ 은 나경 제4층으로 기본 24방위를 나타낸 것인데 용의 배합여부를 측정한다.
     ⑤의 ③의 앞쪽, ⑥은 ②의 앞쪽이다.
     예를 들어 설명한 ꡐ용맥측정도ꡑ는 임자귀룡이 배합룡이 되었는데 下棺의 방향은  壬子의 중앙을 관통하는 혈중심 종선에서 2.5의 차이를 보인다. 이것은 시신을 앉히는 방향은 나경 제5층의 72분금(72룡)에 따르기 때문인데 하관을 정하는 방향은 다음의 기준에 따른다.
     하관할 때, 시신의 복부 중심(배꼽)은 혈중심 종선상에 고정시키고 시신의 머리쪽은 나경 제5층의 분금을 기준으로 어느한 분금(용)을 선택하여 분금의 중앙과 일치시킨다. 즉 시신의 上部는 72룡 중의 한 용과 일치시킨다는 것이다.
     이때 시신의 下部, 즉 다리쪽은 자동적으로 시신 상부의 방향과 일직선상으로 있는 나경 제5층의 앞쪽 분금으로 놓게 되는 것이다.
     용맥 측정도(그림참조)를 보면 알겠지만 시신의 상부가 나경 5층의 한 분금인 丙子의 중앙으로 놓여 있으면 그 하부의 방향은 병자의 방향과 일직선상에 있는 壬午이 중심으로 놓아야 한다는 것이다.
     그림으로 나타낸 '용맥 측정도'는 나경 5층을 기준으로 하여 하관의 방향이 丙子旬이지만 풍수지리에서 중시하는 坐向으로 따진다면 穴로 흐르는 내룡이'壬子入首'의 배합룡(앞의 나경 제4층의 설명참조)이 되면서 '子坐午向'이 되었다.
     좌향은 나경 4층의 기본 24방위를 기준으로 하므로 병자(丙子 ; 나경 5층)가 속한 나경 4층의 子가 무덤의 坐가 된다.
     또 병자와 직선상으로 연결되는 임오(壬午 ; 나경 5층)가 오(午 ; 나경 4층)에 속하므로 子坐의 정반대편에 있는(직선상 연결) 午가 向이 되는 것이다.
     그렇다면 시신의 하관 방향은 무엇을 기준으로 하는가? 즉 시신의 하관 방향에 있어서 기준이 되는 나경 5층의 72룡(72분금)의 吉凶 조건은 무엇인가?
     72룡을 보면 모두 天干과 地支로 구성되어 있다. 즉 七十二雙의 干支로 구성되었데 여기로 흐르는 配合龍과의 관계를 추정하여 보아서 陰陽이 배합되는지의 여부에 따라서 旺氣脈. 生氣脈, 退氣脈, 冷氣脈, 敗氣脈으로 구분한다.
    
       이 가운데에서 왕기맥과 생기맥 방향에서 시신의 하관 방향을 정해야 길하다고 하며 그 외의 용맥 분금 방향은 좋지 않다고 본다. 72개의 龍脈들의 길흉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 경우 甲子旬이니 丙子旬이니 할 때 쓰게 되는 ꡐ旬ꡑ은 가령 갑자순이라고 할 경우 첫째칸에 있는 甲子․乙丑․丙寅 등을 가리키는 말이다.
     물론 丙子旬일 때는 병자가 두 번째칸에 있으므로 이 때의 旬은 丙子․丁丑․戊寅 등을 가리킨다. 그러므로 용맥에서의 旬이란 방향이 돌아가는 순서를 나타낸다.
     그리고 나경 5층의 용맥 분금을 보면 十二支 중에서 하나의 지지가 甲에서 시작되는 각각 다른 天干 5개와 짝을 이루고 있는데 그 가운데 지지에서 가장 먼저 오는 子의 5쌍이 正北, 즉 맨윗쪽에 있다.
     지지:천간이 5:1로 묶인 5쌍의 용맥(분금)은 사이사이에 있는 빈칸을 경계로 구분되어졌는데 이렇게 子의 방향이 위쪽에 있으므로 돌아가는 순서를 말할 때는 子의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甲子旬이니 丙子旬이니 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甲子旬 이라고 한다면 干支 5쌍으로 묶인 나경 5층의 각 방향에서 첫 번째 분금들을 가리키는 것이고 戊子旬이라고 한다면 세 번째 분금들을 가리키는 것으로 戊子, 己丑, 庚寅, 辛卯, 壬辰 등을 말한다.
 

  ① 冷氣脈을 형성하는 甲子旬
        나경 5층 72룡 가운데 빈 칸을 경계로 하여 짝지워진 5쌍의 분금들 가운데 각각 첫 번째칸에 있는 甲子, 乙丑, 丙寅, 丁卯, 戊辰, 己巳, 庚午, 辛未, 壬申, 癸酉, 甲戌, 乙亥의 12개 방위는 용맥이 있다 해도 찬 기운이 서리는 것이므로서 12개의 냉기맥 방위는 하관의 자리로 정함에 있어 凶이 많고 吉性은 적다고 하겠다.
        그 중에서도 甲子, 己巳, 甲戌, 乙亥의 4방위로 흐르는 기맥은 凶格으로 여기며 나머지 8개 기맥은 吉凶 相半格으로 여긴다.
 
  ② 왕기맥(旺氣脈)을 형성하는 병자순(丙子旬)
        나경 5층의 각 5쌍의 분금들 가운데 각각 두 번째칸에 있는 병자(丙子),정축(丁丑),무인(戊寅),기묘(己卯),경진(庚辰),신사(辛巳),임오(壬午),계미(癸未),갑신(甲申),을유(乙酉),병술(丙戌),정해(丁亥)의 12개 방위는 왕기맥(旺氣脈)을 형성한다.
        따라서 왕기맥 12방위는 모두 길격(吉格)의 방위로 생기맥(生氣脈) 12방위와 함께 시신을 하관(下棺)하기에 최적의 방향으로 간주한다.
 
  ③ 敗氣脈을 형성하는 戊子旬
          나경 제5층 각 5쌍의 분금들 가운데 각각 세 번째 칸에 있는 戊子, 己丑, 庚寅, 辛卯, 壬辰, 癸巳, 甲午, 乙未, 丙甲, 丁酉, 戊戌, 己亥의 12개 방위로 흐르는 내룡의 흐름은   甲空亡이라고 여겨 大凶支格으로 여긴다. 하관 방향으로 매우 불리하다.
      
      ④ 生氣脈을 형성하는 庚子旬
         나경 제5층의 천산 2룡(72분금)에서 각 5쌍의 분금들 가운데 각각 네 번째칸에 있는 庚子, 辛丑, 壬寅, 癸卯, 甲辰, 乙巳, 丙午, 丁未, 戊申, 己酉, 庚戌, 辛亥12개 방위로 흐르는 내룡의 용맥은 모두 최상의 吉方으로서 하관방향으로 적격이다.
 ⑤ 退氣脈을 형성하는 壬子旬
       나경 제5층의 천산 72룡(72분금)에서 각 5쌍의 분금들 가운데 각각 다섯 번째칸에 있는 壬子, 癸丑, 甲寅, 乙卯, 丙辰, 丁巳, 戊午, 己未, 庚申, 辛酉, 壬戌, 癸亥의 12개 방위로 흐르는 내룡의 용맥은 쇠퇴한 기맥을 형성하여 하관 방향으로 좋지 않다.
       이 12개 방위 가운데서도 癸丑, 甲寅, 乙卯, 丙辰, 己未, 庚申, 壬戌의 7개 기맥은 특히 좋지 않은 凶格으로 분류하며 그 나머지의 5개 氣脈은 길흉이 相半되므로 다른 조건들과 비교하여 가려 쓸 수 있다.
   이상으로 羅經의 기능과 용도를 알아 보았다.
   특히 陰宅풍수, 즉 무덤 풍수를 이해하는데 있어서 穴場의 방위를 결정하는 나경 제1층에서 제5층까지의 주요 측정기능은 항상 언급되고 다뤄지는 부분인 바, 세세한 부분까지는 아니더라도 각 층들의 기본적인 방위 구분과 역할은 확실히 인식하고 넘어갈 필요가 있다.
   특히 나경 제4층은 음택론의 기본 24방위가 표기되어 坐向과 배합룡, 불배합룡 등을 판단하는 근거 기준이 되는 바 매우 중요하다고 하겠다.
   來龍이 혈장 직전에 있는 入首에 이르렀을 때, 그 방위 干支가 陰陽 배합이 되는지, 아닌지에 따라 配合龍과 不配合龍으로 구분한다고 했으므로 배합룡은 음양 에너지가 불안전하게 흐르게 되므로 나경 5층에 표기된 천산 72룡(72분금) 가운데 아무리 旺氣脈, 生氣脈 일지라도 그 혈에는 생기의 에너지가 공급되기 어렵다.
   아울러 山勢의 내룡 자체가 진행하면서 흐르는 방향에 따라 혈장의 방향, 즉 坐向의 대체적인 방위가 결정되므로 반드시 나경의 원칙에 의해서만 묘자리의 吉凶禍福을 추론하여 明堂을 찾겠다는 신념으로 억지로 무덤의 坐向을 바꾼다면 그 것이야말로 風水地理 理論에 위배되는 것임을 銘心해야 하겠다.
   그리고 羅經은 理氣論에서 절대적으로 必要한 것이지 形氣論에서는 구태여 羅經의 理論에 따를 필요는 없다. 

Comments



Category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NaverBand